예전이나 요즘이나 초대장만 받고 글은 하나도 안쓰는분이 너무 많습니다.
그러므로 운영해오던 블로그가 있는 분께만 초대를 해드립니다.
초대장 신청은 트랙백으로 하시거나 해당 블로그가 자신의 소유임을 증명하는 화면을 보여 주세요.
그럼 제가 방문해보고 앞으로도 운영할 만한 분이라고 판단되면 초대를 해드리겠습니다.
이젠 아무나 초대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초대장 배포도 당분간 중지되었거든요
바이러스 형태중에 자동실행형태가 있다.
윈도에서 각 드라이브의 루트(c:\, d:\등의 경로)에 autorun.inf라는 파일이 있으면 내컴퓨터에서 그 드라이브를 더블클릭할때 이 파일에 설정된 파일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기능이 있다.
주로 CD를 삽입할경우 설치화면이 자동으로 뜨는 기능을 구현할때 쓰던 기능인데
이 기능을 악용하는 형태의 바이러스가 있으니 C:\ 나 USB에 임의로 autorun.inf 파일을 시스템 숨김형태로 바이러스 파일과 함께 생성해서 무심코 하드나 USB를 더블클릭했을때 바이러스 파일을 실행하도록 한다.
얼마전 학교 전산실에 이런 유형의 바이러스가 걸린적이 있었다.
컴퓨터에 연결된 USB에 설치되어 USB연결 후 더블클릭시 자동실행되어 감염시키는 무서운 바이러스였는데, 증상은 인터넷을 먹통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실수로 피시방에서 더블클릭으로 감염시켰더니 화면이 무작위로 꺼지고 모니터를 껏다켜야 돌아오도록 하던 무서운 바이러스였다.
하지만 이런 유형의 바이러스처럼 특정 이름의 파일을 생성하는 바이러스는 간단히 무력화 시킬 수 있는데, 방법은 간단하다.
바로 생성되는 파일과 같은 이름의 폴더를 만들어 두는 것이다.
대부분의 파일시스템이 그렇듯 윈도의 FAT나 NTFS는 이름이 같은 디렉토리와 파일이 동시에 존재할 수 없다.
즉, c:\에 autorun.inf라는 폴더가 있으면 그 폴더를 지우기 전까지는 autorun.inf라는 파일을 생성할 수 없다.
이런 점을 이용해 모든 하드드라이브에, 특히 USB드라이브같은 이동형 매체에는 필히 autorun.inf라는 폴더를 만들어두자. 이 방법은 실행파일을 자꾸 생성하는 애드웨어를 무력화시킬때도 이용할 수 있다. 애드웨어로 의심되는 파일을 지원는데도 자꾸 생성된다면 같은 이름의 폴더를 생성해두면 된다.
만약 에러가 뜨면서 생성이 안된다면 이미 김염-_-되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무료백신인 알약, 아바스트 홈 에디션 등의 백신으로 검사해보길 권한다.
키로거 프로그램중 이런 방식으로 파일을 계속 살리는 것들이 있다고 하니 해킹방지를 위해서도 만들어 두면 좋을 것이다.
윈도우를 쓰면서 깔아도 될지 의심스러운 프로그램이 간혹 있다.
이럴때 Sandboxie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매우 좋다.
이름을 보면 모래상자라는 뜻인데 어떤 모양을 만들어도 얼마든지 무너트려서 원래대로 되돌릴 수 있는 모래상자처럼
이 프로그램을 통해 설치한 프로그램은 레지스트리나 디스크를 건드리지 않고 가상의 공간에 설치되기 때문에
원하면 흔적없이 지워버릴 수 있다.
나같은 경우엔 애니콜 핸드폰매니저라던가 한번 쓰고 지울 프로그램을 쓸때 사용한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해 익스플로러를 실행하면 액티브X같은게 깔려도 실제 익스플로러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웹기반의 구글캘린더는 참 쓸만하기때문에 내가쓰는 메일 클라이언트인 썬더버드와 연동해서 로컬에서도 작업할수 있도록 해보기로 했다.
1. 썬더버드 설치
이건 당연하다. 지메일처럼 imap을 지원하는 메일을 쓴다면 되도록 imap을 쓰는걸 추천. pop3보다 훨씬 좋다.
2. 라이트닝 설치
라이트닝은 썬더버드의 플러그인으로 일정관리를 하도록 해준다.
우선 https://addons.mozilla.org/ko/thunderbird/addon/2313 에서 플러그인을 다운받은뒤 썬더버드에서 도구-부가기능 메뉴에서 설치한다.
3. Google Calendar Provider 설치 https://addons.mozilla.org/ko/thunderbird/addon/4631 에서 플러그인을 다운받아 2번처럼 설치
4. 캘린더 추가
왼쪽 하단에 캘린더 버튼 누르고 새캘린더 추가에서 네트워크를 고르면 구글 캘린더 항목이 추가되어있다.
선택한뒤 구글캘린더에서 캘린더옵션에 xml주소를 목사해서 넣으면 된다.(ical 아님)